다수의 연구성과(전체논문; 인용지수 20982, h-index 68, i10-index 284, 5년 이내; 인용지수 11482, h-index 46, i10-index 191)와 산업체 등의 기술 자문 및 교육을 수행했으며 다수의 전문연구인력을 배출함을 인정받아,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으로 임명되었다. (2020.01.14)
기존 퇴행성 관절염 치료에 사용되는 선형 히알루론산과 달리 구형 자가조립 히알루론산 나노입자는 안정성이 더 높아 생체 내에서 오래 지속되며 염증 완화 효과도 향상되어 기존 퇴행성 관절염 치료제의 단점을 극복하고 효능이 개선된 새로운 퇴행성 관절염 치료제로서 가능성을 보여주었음.
[논문: Biomaterial..
아주대학교 분자과학기술연구센터 참여연구원인 김종현 교수는 호주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의 공동 연구팀과 함께, 실내조명환경에서 고출력 에너지생산이 가능한 광전소자 설계원리를 밝히는데 성공하였으며, 해당 연구결과를 에너지 분야의 저명 학술지인 <어드밴스드 에너지 머터리얼즈(Advanced Ene..